지명유래
지명유래
가덕도동
가덕도동의 지명유래는 조선중종 37년에 가덕도에 천성 만호진과 가덕진을 설치하여 왜구의 침입을 막았고 1906년에는 웅천군 천성면, 가덕면을 설치하였으며 그후 1908년에 두면을 합하면서 두면의 머릿글자를 따서 천가면이라 이름 지었다.
동 명 | 자연마을명 | 유 래 |
---|---|---|
가덕도동 | 동선 (東仙) | 지난 날 창원군 천가면지역의 동쪽 선창이 되므로 동선서 동선이라는 지명이 되었는데, 동선리에는 동선 본동마을과 동쪽으로 향교가 있었던 생교마을의 동쪽 끝에 세바람을 많이 받는 곳으로 새바지 갯마을이 있는데 새바지에서 눌차까지 새바지 둑으로 연결되어 있어 이 둑을 ‘터질 목’이라고도 한다. |
성북 (城北) | 선창마을의 선착장에서 마을버스를 타고 5분여만에 닿는 가덕도동의 중심지인 성북리 본동은 논 밭농사를 위주로 살아가는 지역이다. 서북쪽으로 구곡산과 삼박봉, 서남쪽으로는 응주보과 연대산이 둘러 싸여 있는 성북리 본동에는 가덕도동사무소와 북구서, 천가파출소를 위시해서 천가우제국, 천가보건지소, 농촌지도소, 농협조합 등의 기관이 있고 학교 시설은 천가초등학교와 덕문 중 고등학교가 있다. 문화유적은 갇거진성 성터가 남아있고 가덕도동사무소 앞에 조선시대 수군 절제사의 송덕비 4개가 있다. | |
선창 (仙倉) | 가덕도동의 관문역할을 하고 있는 성북리 선창은 예로부터 가덕도와 용원을 잇는도선의 기점이었는데 서북쪽갈마봉 동쪽 끝에 대원군 척화비가 노변에 방치되어 있었던 것을 천가초등학교에서 옮겨 관리해 오다가 다시 원래 자리였던 마을회관 앞 큰 길가에 세워 놓았다. 이곳 선창은 옛 가덕청사 시절에는 수군 함정의 군항지였다. | |
율리 (栗里) | 선창마을에서 서쪽으로 갈마봉 해안선 일주도로를 따라가면 밤나무가 많아서 밤꿈마을로 불려졌던 율리마을이 있다.선창에서 율리로 넘어오는 고개를 밤꿈고개라 부르고 고갯길 깊숙이 들어가 있는 골짜기를 불미골이라고 한다. 율리 동쪽에 있는 저수지를 밤꿈곡저수지라고 하며 밤꿈 동남쪽에는 성북리저수지가 있다 그리고 율리 동쪽으로는 일방염 갯가가잇다. | |
장항 (獐項) | 장항마을은 바위 절벽 위로 소나무가 무성한 독뫼산을 끼고 있는 곳으로 노루목처럼 생긴데다 노루목 위치에 있어 노루목이란 마을 이름이 붙여졌다. 장항의 해안일대를 개안이라고 하는데 서남쪽으로 고직말 곶이 있고 뒷산 무등능선에 있는 남쪽바다에 띠밭꿈 갯가가 있으며 남쪽 당산곡을 넘으면 옛날 열 몇 세대가 살고있었다는 배오개 마을이 있다. | |
항월 (項越) | 눌차리 항월의 목은 머리와 몸을 잇는 잘록한 부분이란 뜻과 다른 곳으로 빠져나가는 중요한 길의 좁은 곳을 일컬을 때 목이라고 하며 행정명칭으로 항월이 되었음 | |
두문 (斗文) | 천성리 서중마을 북쪽에 있는 두문마을은 옛날 앞바다에서 생선(청어)이 많이 잡혔는데 한 마리씩 헤아리기가 시간이 걸리므로 말로 되어서 매매했다는 어원에서 생긴 마을 이름인데 본래는 먹걸이라고 불렀다. | |
서중 (西中연) | 천성리 본동에는 두문 마을에서 망넘골 끝을 보고 해안을 따라 활등처럼 굽어돌아 천성만을 이루고 있는데 마을 가운데 일자로 나 있는 선착장을 중심으로 북쪽은 서중마을로 천성리의 중심이 되고 남쪽에는 남중마을이 됨. | |
남중 (南中) | ||
대항 (大項) | 대항리에는 본 동의 음달 양달 마음과 새바지마을. 외양포마을이 있다. 천성리에서 천성고개를 넘어 동쪽에 연대봉 기슭과 남쪽의 국수봉기슭이 잘룩하게 이어지는 목 서안에 대항리 본 마을이 나온다. 그래서 대항을 큰 목, 한목이라고 부른다 | |
외눌 (外訥) | 가덕도 동북단의 섬마을로 섬의 형태가 본섬과는 달리 유달리 완만하고 낮아 꼭 누워 있는 형태라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는데 | |
내눌 (內訥) | ||
정거 (釘巨) | 파고가 심하여 배가 잘 터진다 하여 붙여진 이름, 파도가 잔잔할 때까지 닻을 메어 놓고 디라린다는 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