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기행
※ 관광명소내 휠체어 및 전동휠체어 미비치
주변기행
숭어들이 육소장망어업


세계2차대전 일본군 포진지


동백꽃 군락지


아동도


가덕등대


연대봉


현재 활용가능 관광자원 | 근접 지역 | 대항패총 | 1992년 신라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 당시 어로생활을 연구하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 |
---|---|---|---|
외양포부은패총 | 신석기 초기 패총으로 추정되며, 어패류를 얻기 위한 임시 작업공간으로 추정. | ||
육소장망어업 | 약 120년전 통영군 산양리와 거제도 칠천도에서 처음 고안되어 사용되었고, 가덕도로 넘어와서 지금까지 시행됨. 현재 창원, 통영, 남해에 있는 육소장망을 모두 개량된 것으로 전통적인 어법의 형태를 찾을 수 없고 가덕도의 육소장망만이 유일하게 전통적인 방식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음. | ||
가 덕 등 대 | 건축양식이 뛰어나고 원형보존이 잘되어 있어 보존가치가 있는 등대시설로 선정. 가덕등대는 국내 처음으로 일반인들에게 숙소로 개방하여 1박2일간 등대체험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 마련. | ||
일본군포진지 | 일본군의 해상 포진지 | ||
동백군락지 | 가덕도 남단의 동쪽 해안 절개지 위 약 3만여평에 자생하는 동백나무 군락지는 부산광역시 지정 기념물 제 36호 | ||
아 동 도 | 연안에 흐드러지게 핀 동백과 절경을 이루는 아동도는 수려한 경관으로 강서팔경 중 하나로 갯바위, 바다낚시로 유명함 | ||
인근 지역 | 천성연대 봉수지 | 고려 의종때 조성되어, 1996년 복원하였고, 서로 사화랑봉수대, 북으로 성화예산 봉수대, 동으로 다대포 응봉봉수대와 연결. | |
두문지석묘 | 부산지역내 유일한 해안지석묘로 청동기 시대의 것으로 추정. 길이 2.5m, 두께 80㎝로 보존상태는 매우 양호. | ||
성북고분 | 수습된 유물로 보아 4~6세기 가야시대 고분군으로 추정되며, 가덕도 내 유일한 고분 | ||
가덕진성 | 수군 첨절제사가 주둔하면서 가덕도 전체를 지키고 다스렸던 곳. 총연장 80m, 높이 2.3m의 규모. | ||
천성진성 | 남해안 일대에 주둔하던 왜구의 가덕도 상륙을 막기 위하여 축조된 것. 석축성이었으며 총연장 700m정도 되었을 것으로 추정. | ||
눌차왜성 | 웅천성을 노리던 왜군들의 전초기지. 총연장 86m, 면적은 약 2500평, 높이 3m규모. | ||
성북외성 | 왜군이 점령하여 사용한 것으로 추정됨. 눌차왜성, 안골포왜성과 함께 가덕진성, 천성진성, 안골성, 웅천성을 견제 역할. | ||
미래 활용가능 관광자원 | 부산신항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