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05월 제332호
게시글 미리보기
열린구정
- 금단곶 보 답성제 봉행 조상들의 나라사랑 정신을 되새기고 향토문화 계승을 위한 행사가 마련됐다.녹산향토문화관은 지난 5월 11일 오전 녹산동 성고개 금단곶보성지에서 제32회 금단곶보성지 답성제를 열었다.이날 행사에는 녹산향토문화관 관계자와 주민 등 100여명이 참가해 제례를 봉행하며 조상들의 애국혼을 되살리고 전통문화 계승을 다짐했다.금단곶보성지는 조선 성종 16년(1485년)에 4도 순찰사 홍응의 요청에 따라 남해안에 자주 출몰하는 왜선을 감시하기 위해 요충지에 석보(石堡)를 쌓고 지키게 했던 곳이다.부산 지역에서 처음으로 조사된 보성(堡城)이며, 보는 진성(鎭城)이나 읍성(邑城)보다 규모가 작은 성을 일컫는다. 고개의 정상부 아래에 위치하는 특이한 형태를 띠고 있다지난 1960년대까지 비교적 성의 모습이 보존됐던 금단곶보성터는 개발로 인해 거의 다 허물어져 지금은 흔적도 찾기 힘들어졌다. 그러나 1990년 3월말 주민들이 뜻을 모아 비석을 세우고 1992년부터 매년 봄에 제향을 지내고 있다. 녹산동 ☎ 970-4621 ... 2023-05-24
- "찾아가는 교통안전교실' 운영2023-05-24
- 첫 '강서어린이날 큰잔치' 성황2023-05-24
- 신호도서관 문화사랑방 역할 '톡톡'2023-05-24
- 명지동에 중학교 추가 건설2023-05-24
생활정보
- 영농기술정보 1 벼 농사 ❍ (잡초 방제)논 잡초(피,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등)는 벼 모내기 전후 2차례로 나눠 방제를 실시함 - 써레질 후 모내기 5일 전에 적용약제를 1차로 처리하고 이앙 후 12~15일에 2차로 살포함 ❍ 잡초는 발아 또는 출현 후에 제초제 성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제초제를 뿌린 다음에는 물을 3~5cm 깊이로 최소한 5일 이상 유지하여야 함 ❍ (물 관리)모낼 때 물이 깊으면 결주가 많이 발생되므로 2~3㎝ 정도로 얕게 물을 대어 줌 ❍ 모를 낸 직후부터 7~10일간은 모 키의 절반에서 3분의 2정도 (5~7㎝)로 물을 대주어 수분증산을 적게 시킴 ❍ 새끼 칠 때에는 물을 2~3㎝ 깊이로 얕게 대어 참 새끼를 빨리 치도록 유도함 ❍ (시비 관리)질소비료를 알맞게 주면 쌀 품질이 좋아지고 병해충 발생이 적어짐 ❍ 맞춤형 비료를 기비로 시용할 경우 새끼 칠 거름은 주지 않음 - 맞춤형 비료 살포 시 비료성분과 입자간 비중차이에 의한 불균형 시비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잘 섞은 후 뿌림 ❍ 맞춤형 비료를 주지 않은 경우 모낸 후 14일경에 새끼 칠 거름을 시용함 2 노지고추 ❍ 웃거름 주는 시기와 양은 생육상태에 따라 조정을 해 주도록 함 * 점적관수 시설이 설치된 곳은 800~1,200배액의 물비료를 웃거름 ❍ 제초 노력을 줄이기 위해 부직포, 흑색비닐, 볏짚 등으로 고추 헛골을 피복 ❍ 석회결핍과 예방을 위해 토양수분을 적정하게 유지하고 염화칼슘 0.3~0.5% 액으로 엽면시비 실시 ❍ 비가 자주 내리면 역병(疫病, 돌림병)이 감염될 수 있으므로 지난해 역병이 많았던 포장 등은 적용약제로 관주하는 등 사전예방 실시 ❍ 고추 착과초기에 우박피해로 분지가 심하게 손상되었을 경우 측지를 유인하여 관리하면 어린묘나 노숙묘를 새로 심는 것보다 유리함 3 마늘·양파 ❍ 마늘은 수확기가 가까워지면 하위엽과 잎의 끝부터 마르기 시작하는데 1/2~2/3 정도 말랐을 때 수확 - 날씨가 좋은날 상처가 나지 않도록 캐서 밭에서 2~3일간 말리는 것이 좋음 - 특히 캘 때 뿌리에 붙어있는 흙을 털기 위해서 호미나 삽 등으로 마늘을 두드리면 상처가 나 부패하기 쉬움 ❍ 양파는 도복이 시작될 때에는 하루에 10a당 약 200kg씩 수량이 증가하며 도복 후에도 지상부가 완전히 고사될 때까지 구의 비대가 계속되므로 도복이 진행될수록 수확량은 많아짐 - 중・만생종의 경우 너무 늦은 수확은 병해충의 피해로 저장성이 떨어지므로 도복 후 잎이 완전히 마르기 전에 수확하는 것이 좋음 4 시설채소 ❍ (온도관리) 고온장해를 받지 않도록 환기를 잘하여 하우스 안의 온도가 30℃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관리 ❍ (병해충예방) 시설 내의 환경관리를 잘하여 병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병해충이 발견되면 적용 약제로 방제하되 농약안전사용기준을 지켜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 ❍ (배수로 정비) 많은 비가 내릴 때 습해를 받지 않도록 대비함... 2023-05-24
- 도서관 소식2023-05-24
- 복지관 소식2023-05-24
- 강서구새마을운동 지회 소식2023-05-24
문화예술
- 강서향토사-고려청자 무덤의 비밀6 가야문화의 왜국전파일본은 가야를 고대 한반도 남부에 있었던 환상의 나라로 불렀다. 3~6세기 경 가야는 크게 번창하여 화려한 문화를 꽃피웠으며 왜국과 깊은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었다. 가야의 여러 소국이 자리한 낙동강 하류 지역은 왜국과 가까워 일찍부터 이들과 교류가 이어졌다.가야국의 선진 문물이 왜국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들어가 고대 일본의 생활사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6세기경에는 왜의 문물이 역(逆)으로 남해안의 주요 해상교통로에서 발견되기도 하였다. 김해대성동 고분군에서는 방패를 비롯해 화살촉 등 왜국 산 물품이 출토되고 고령, 고성 지방에서도 왜국에서 제작한 것으로 보이는 갑옷과 투구가 출토되었으며 규슈지역에서 발견되는 것과 유사한 돌방무덤이 발견되기도 하였다.가장 많은 왜국의 유물은 일상생활 용기인 적갈색 계통의 하지키(土師器)토기와 흑 청색을 띤 스에키(須惠器)토기였다. 스에키는 가야토기의 영향을 받아 5세기부터 본격적으로 생산된 단단한 재질의 도질(陶質)토기를 말한다. 이는 가야의 지도층을 비롯한 다양한 계층의 여러 집단이 왜와 교류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도래인’이 전한 기술섬나라인 일본은 외부로부터 사람이 건너 와야 새로운 문물과 기술이 발전하는 환경이다. 고대 한반도나 중국에서 왜국으로 이주해온 사람을 그들은 도래 인(到來人:바다를 건너 들어온 외부 사람)이라고 불렀다. 이들은 자신의 지식과 기술을 전파하여 일본 고대국가 체제에 큰 영향을 미쳤다. 도래인들은 교역을 위해 단기간 거주하기도 하고 정착을 위해 이주하기 도하였다. 규슈를 비롯한 일본 각지에서 도래인들의 거주 흔적을 찾을 수 있지만 후쿠오카현 니시신마치(西新町)유적에는 한반도에서 건너간 토기뿐만 아니라 온돌과 부뚜막을 갖춘 움집이 발굴되었다. 부뚜막에서 발굴된 찜요리 기구인 바닥에 구멍이 뚫린 시루는 가야인 특유의 조리기구인데 일본열도 전체로 번져나가 왜국의 식생활문화에 큰 변화를 일으킨 도기였다. 가야토기와 스에키(須惠器)가야 여러지역에서 왜국으로 건너간 이주민들은 말을 타는 풍습을 포함, 의식주 전반에 걸쳐 다방면에서 변화를 불러왔다. 그 중 획기적인 것은 토기제작 기술이었다. 가야토기는 매우 단단하여 물을 부어도 스며들지 않으며 두드리면 쇳소리가 나는 특징이 있었다. 이런 가야토기 제작기술이 왜국에 전파되면서 5세기 초부터 스에키(질 좋은 토기라는 뜻)가 생산되었다.스에키는 가마를 만들고 구워내는 방법 등의 고급기술이 필요한데, 가야인들이 직접 제작하거나 현지인들에게 기술을 전파하였다. 철기뿐만 아니라 가야의 기마(騎馬)문화는 호족들 사이에서 순식간에 퍼져나갔으며 고분에서 출토된 ‘하니와(埴輪; 흙을 구워 만든 인형)’ 역시 가야의 토기제작기술에 접목된 가야문화이다. 무역으로 도자기 수입일본은 가야에서 전파한 도기를 만드는 기술을 전수받았지만 더 이상의 발전은 없었다. 중국에서 한반도로 이어지는 첨단기술을 고려와 조선은 중국을 능가하는 신기술로 승화시켰지만 왜국은 이를 소화해 낼 능력이 없었다. 기술개발에 의한 자체 생산보다는 무역을 택하였고 왜구를 통한 약탈물자의 확보에 더 많은 관심을 두었다. 더구나 전국시대(15C 중반~16C 후반) 100여 년 동안 전쟁을 치르면서 도자기 생산은 엄두를 낼 수가 없었다. 1323년 여름 중국에서 왜국으로 향하던 무역선이 신안 앞바다에 좌초 되었다. 그 뒤 약 650년(1975년)이 지나 신안마을 어부의 그물에 중국도자기 6점이 걸려 올라오면서 잠자던 도자기들이 인양되어 보물이 되었다. 이는 중국과 한국 일본 3국 간에 활발한 해상무역 거래가 있었음을 증명하는 대표적 사례이다. 조선막사발이 ‘이도다완’이 무렵 왜국에서는 차를 수행의 경지로 끌어올린 다도문화가 정착되었는데 ‘센노리큐(千利休; 오다 노부나가, 토요토미 히데요시의 차 선생)’라는 사람이 창시자로 알려지고 있다. 차문화는 살기 등등한 무사들이 차를 마시고 마음을 다스리게 하는 하나의 미덕으로 자리 잡았다. 당시 일본의 상류층의 차문화는 부와권력을 상징하였으며 수입된 명품 다기는 무사의 1년 봉록에 해당 할 만큼 치솟았다. 이중 센노리큐의 감정을 받은 다기는 성 한 채 값이었다고 하니 차에 대한 사치가 절정에 달했음을 알 수 있다.일본을 통일(1590년)한 토요토미 히데요시 역시 차문화에 흠뻑 젖어 있었다. 그는 조선의 차문화와 다기에 크게 매력을 느꼈는데 찻잔은 어이없게도 고급 청자도 백자도 아닌 ‘막사발’이었다. 조선의 막사발은 막걸리 잔이나 국그릇에 불과한 생활자기의 하나일 뿐이었지만 말차를 즐기기엔 최적인 다기였다. 그들은 이 그릇을 ‘이도다완(井戶茶碗)’ 이라 불렀다.막사발이 그들의 눈에는 보물로 보였으며 완벽한 규격미 추구와 달리 거칠고 비대칭인 막사발을 보고 자유분방한 자연미와 파격미를 가졌다고 평가하였다. 한 술 더 떠서 찾잔 내면이 마치 ‘작은 옹달샘 같다’며 감탄하였다. 놀랍게도 조선의 막사발에 불과한 이도다완은 일본 최고의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나베시마 나오시게’의 도자기 공장선풍적인 다이묘(大名)의 차문화는 찻잔을 필요로 했으나 이를 만들 수 없어 수입하였다. 권력자와 영주들은 다기를 무사들에게 하사품으로 내리기도 하였는데 수입 다기는 자연 고가(高價)에다 부와 권력의 상징이 되었다. 죽도왜성을 쌓았던 사가현(佐賀県)의 성주 ‘나베시마 나오시게’가 임진왜란 시 휴전이 되었음에도 본국으로 귀국하지 않은 이유는 도자기를 확보하기 위함이었다. 그는 잔류하는 수 년 동안 영남 일대의 도자기를 긁어모았다. 특히, ‘막사발’ 확보를 위해 골짜기에 흩어져 개인요를 운영하고 있던 조선 도공들에게 식량등 약간의 편의를 제공하면서 제작을 강요하고 감시하며 직접생산 하였다. 현지에서 생산된 도자기는 약탈물자 집결지였던 죽도왜성의 해창포구를 통하여 매일같이 본토의 영지인 사가현으로 실어 날랐다. 이런 막사발은 ‘이도다완’이 되어 토요토미 히데요시에게 상납되었으며 일본 상류층에 선물하거나 판매하면서 가문의 지위와 막대한 부를 축적해 나갔다. 〈배종진/강서향토사연구소 연구소장〉 ... 2023-05-24
- 강서칼럼-강서에 살어리랏다(노정숙)2023-05-24
- 뒤란-걷기, 사고에 깊이 선사2023-05-24
지역경제
- 강서구, 건축.경관위 스마트위원회로 운영 자치구에서도 부산시가 지난 2월부터 운영하고 있는 종이 없는 스마트 건축위원회 심의가 실시된다.강서구는 5월 3일 열린 건축위원회 심의를 시작으로 경관위원회도 종이 설계도서를 전자파일로 제출받아 컴퓨터 등 전자기기가 설치돼 있는 회의장에서 위원회를 열기로 했다.지금까지 건축위원회와 경관위원회 심의 신청을 건축행정시스템인 세움터를 통해 전자파일로 접수했다. 하지만 실제 위원회 심의에서는 위원 수만큼 수백 장에 달하는 심의도서와 각종 계산서 등을 종이에 인쇄, 심의가 끝나면 바로 폐기했다. 이 때문에 비용·시간·환경문제 등을 야기한다는 지적이 따랐다.부산시는 올 2월부터 종이 없는 건축위원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민원인의 만족도 증가와 부산시건축사회의 요청으로 지난 4월부터 16개 구·군으로 ‘종이 없는 건축위원회’ 운영을 확대했다.이에 따라 강서구는 부산시가 요청한 스마트 건축위원회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경관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는 경관위원회까지 확대 운영키로 했다.강서구의 발 빠른 이런 조치는 건축위원회 등 심의를 위해 제작돼 폐기되는 종이를 줄여 탄소배출 감소 등 친환경도시 구현이라는 구정목표에도 부합되고 있다.또 금리 상승 및 부동산 경기침체로 어려운 상황에 처한 민원인에게 도서제작 비용 절감 등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서 실시하고 있다.김형찬 강서구청장은 “강서구에서는 스마트위원회를 건축위원회에 이어 경관심의위원회까지 확대 운영하기로 했다”면서 “적극행정 실천으로 민원인에게도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건축과 ☎ 970-4592... 2023-05-24
- 문화재 구역 해제 '파란불'2023-05-24
- 종합 컨설팅.채용지원 서비스 제공2023-05-24
- 슬레이트 지붕 철거.개량 지원2023-05-24
행정종합
- 강서지역 시내버스 노선 크게 늘어난다 다음 달부터 강서지역의 시내버스 노선이 확충돼 주민들의 대중교통 이용편의가 크게 높아질 전망이다.강서구는 부산시와 장기간 협의 끝에 화전동 강서공영차고지 준공에 맞춰 시내버스 노선개편을 단행하고, 6월 17일자로 시행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번 시내버스 노선개편은 부산시가 총사업비 160억 원을 들여 화전동 산74번지에 전기‧수소‧CNG 충전소 등 현대적 시설을 갖춘 연면적 50,140㎡ 규모에 버스 239대를 수용할 수 있는 강서공영차고지 준공에 맞춰 이뤄지는 전면적인 개편이다.이에 따라 태영, 금진, 영신 등 3개 버스회사가 기존 노선의 기점을 강서공영차고지로 변경하고 녹산, 명지, 화전동 일대의 노선 서비스 강화와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운행 거리 및 동선을 합리적으로 조정했다.노선 개편안에 따르면 강서구 경유 시내버스 노선은 기존 26개에서 36개로 10개 노선이 증가하며, 운행대수는 224대에서 319대로 95대가 늘어나고, 평균 배차간격도 5분 단축된다. 강서구 관계자는 그간 신도시 등 개발사업 추진으로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대중교통 여건이 좀처럼 개선되지 않았던 구민 불편을 최대한 해소하기 위해 버스 총량제 한계 속에서도 많은 노선을 신설하고, 기존 노선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였다고 밝혔다. 주요 개편방향은 △간선대로 중심의 노선 배치 △명지환승센터 기능 강화 △버스 운행 신속성 확보 △대중교통 불편지역 노선 보강 등이다.세부적으로는 태영, 금진, 영신 3개 업체가 강서공영차고지로 이주함에 따라 그간 강서구를 경유하지 않던 17번, 61번, 161번 노선을 신규 경유토록 조정하고, 55번, 58번, 58-1번 등은 기점을 강서공영차고지로 변경한 뒤 지역개발 여건을 반영하여 노선을 개선했다. 장거리 노선인 123번, 520번, 1009번은 하단 및 명지환승센터까지 운행 구간을 단축하고, 124번, 128-1번은 운송업체의 차고지 이전으로 기점이 강서차고지로 바뀌어 각각 강서차고지~하단, 강서차고지~덕천 구간으로 노선이 전면 변경되며, 168번은 용당~시민공원 구간으로 노선이 변경된다. 또한, 출퇴근 등 다양한 이동 수요를 반영하여 강서구청~지사~강서차고지 구간 55-1번, 삼계~가락~지사~명지 구간 122번, 금곡~김해공항 구간 1012번, 강서차고지~대저~서면 구간 1009-1번, 화전~녹산산단~신호~명지 구간 순환 55-2번 노선을 신설한다. 부산시 재정부담 완화를 위해 김해 구간을 중심으로 운영되던 125번, 221번은 폐선에 들어가며, 폐선 노선 및 124번, 128-1번 이용객 불편 해소를 위해 김해시에서 대체 노선 911번, 912번, 913번을 신설하고, 김해 220번 노선은 증차하여 운행한다. 장유(율하)~명지 구간을 운행하게 될 김해 914번 신설 노선은 금년 10월 운행에 들어갈 전망이다. 김형찬 강서구청장은 “이번 시내버스 개편으로 그간 구민들이 겪어왔던 대중교통 불편사항을 최대한 해소하려고 노력하였으나 모든 분들의 불편을 해결해 드리지 못하여 송구하다”면서 “시내버스 개편과 연계한 마을버스 개편 및 한정면허 버스 도입을 신속히 추진해 시내버스 개편 소외지역 등 대중교통 불편이 해소되지 않은 지역을 중심으로 집중적인 서비스 강화 방안을 적극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개편 주요 노선도 8면>교통행정과 ☎970-4552... 2023-05-24
- 교정시설 이전 수용 불가2023-05-24
- 강서구, '직소민원실' 통해 민원 신속히 처리2023-05-24
- 정보통신 보조기기 신청하세요2023-05-24
의정소식
- 지난해 회계 결산 승인.올해 추경안 등 심사 강서구의회는 오는 6월 8일부터 16일까지 2023년도 제1차 정례회 의정활동에 돌입한다. 이번 제1차 정례회에서는 예산결산특별위원회와 조례심사특별위원회를 구성하여 2022회계연도 결산 승인의 건, 2022년도 예비비 지출 승인의 건, 2023년도 제1회 추가경정 예산안 심사 및 9건의 조례안 등을 처리하게 된다.주요 일정을 보면 8일 제1차 본회의, 13일부터 14일까지 2022회계연도 결산 및 예비비 지출 심사, 15일부터 19일까지 2023년도 제1회 추경 예산안 심사, 21일 부산광역시 강서구 적극행정 운영조례 일부개정조례안 등 9건의 조례안 심사가 있다. 이어 6월 23일 제3차 본회의를 끝으로 제241회 제1차 정례회 16일간의 일정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2023-05-24
- 의원칼럼-소정어린이공원 새단장(이자연 의원)2023-05-24
- 의원칼럼-강서구 어린이 큰잔치 매년 마련을(구정란 의원)2023-05-24
- 2022년도 행정사무감사 책자 발간2023-05-24